국제법 판례 · 통상법 해설 포털
1. (문희조) 분쟁해결을 위한 중개 절차의 활용에 대한 고찰 본문
1. (문희조) 분쟁해결을 위한 중개 절차의 활용에 대한 고찰
통상법무정책/2024년 제2호 2025. 2. 26. 21:481. (문희조) 분쟁해결을 위한 중개 절차의 활용에 대한 고찰.pdf
0.51MB
* 아래 본문은 원문과 문단 구분 등이 다를 수 있습니다. 정확한 원문을 확인하시고 싶으신 분은 위 파일을 다운로드하시기 바랍니다.
[국문초록]
2019년경 상소기구가 마비됨에 따라 WTO 체계는 유례없는 위기를 맞이하였다. WTO 패널 절차의 효용성을 기대할 수 없는 현재 상황에서 WTO 회원국들은 분쟁해결제도의 개혁을 논의하고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대안적 분쟁해결(ADR) 제도가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다. 그 중 DSU 제25조에 따른 중재절차를 패널절차의 대안으로 검토하는 논의가 두드러진다. 하지만 중재절차는 패널 절차와 마찬가지로 지나치게 사법화되어 있으며 중재인들의 공정성, 시간적·비용적 부담에 대한 우려를 낳는 것으로 지적된 바 있다. 최근에는 더 평화로운 분쟁 해결 방식이면서 국가 간 우호적인 관계를 보존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중개 절차가 관심을 끌고 있다.
이 논문은 먼저 중개의 개념과 장점을 살펴본 후 현재 DSU 하에서 제공되는 중개절차와 최근 WTO 분쟁해결제도 개혁논의에서 다뤄지고 있는 내용을 소개한다. 그리고 WTO 체제가 아닌 타 체제에서 중개절차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WTO 분쟁해결을 위한 중개절차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. 마지막으로 현재 중개절차가 잘 활용되지 않는 이유를 살펴본 후 WTO 체제 내에서 중개절차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.
핵심용어 : WTO, 대안적 분쟁해결(ADR), 중개, DSM 개혁, 분쟁해결
본 저작물 사용 시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하며, 상업적인 이용 및 변경은 금지됩니다. 위 조건을 위반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,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. 상세한 안내는 링크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 https://www.kogl.or.kr/info/license.do#04-tab ![]() |
'통상법무정책 > 2024년 제2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. (부록) 미국-중국산 제품 상계관세·반덤핑 분쟁(DS449) 판정 분석 (0) | 2025.02.26 |
---|---|
3. (한창완) 투자자산의 매각과 투자협정상 투자자 여부 (0) | 2025.02.26 |
2. (장준영, 이지은) 인공지능 전환(AX) 시대, 국내외 AI 법제 현황 및 시사점 (0) | 2025.02.26 |
0. 통상교섭본부장 발간사 (0) | 2025.02.26 |
0. 통상법무정책 통권 제8호 (0) | 2025.02.26 |
'통상법무정책/2024년 제2호' Related Articles
-
3. (한창완) 투자자산의 매각과 투자협정상 투자자 여부 2025.02.26
-
2. (장준영, 이지은) 인공지능 전환(AX) 시대, 국내외 AI 법제 현황 및 시사점 2025.02.26
-
0. 통상교섭본부장 발간사 2025.02.26
-
0. 통상법무정책 통권 제8호 2025.02.2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