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제법 판례 · 통상법 해설 포털
2. (박정준) 최근 FTA규범 관점에서 중소기업의 무역 참여 지원 방향성에 대한 연구 본문
2. (박정준) 최근 FTA규범 관점에서 중소기업의 무역 참여 지원 방향성에 대한 연구
통상법무정책/2022년 제2호 2023. 1. 13. 10:27(박정준) 최근 FTA규범 관점에서 중소기업의 무역 참여 지원 방향성에 대한 연구.pdf
0.49MB
* 아래 본문은 원문과 문단 구분 등이 다를 수 있습니다. 정확한 원문을 확인하시고 싶으신 분은 위 파일을 다운로드하시기 바랍니다.
[국문초록]
중소기업들은 국가 내 높은 기업 비율과 일자리 창출 능력에도 불구하고 무역활동에는 적극적이지 않았다는 비판이 있어왔다. 역설적으로 최근까지의 무역협정들과 이를 통한 무역자유화 역시 중소기업들에 대해 통일되고 유의미한 규범과 환경을 제시했다고 평가하기 어렵다. 그 때문에 개별 국가와 정책 단위로 중소기업에 대한 무역 참여 지원 노력을 해왔지만 파편화된 방식들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성공적인 중소기업의 무역 사례를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.
이러한 현실 속에 최근 메가-FTA인 RCEP과 CPTPP, 그리고 미국 주도의 USMCA는 독립된 중소기업 챕터를 도입하고 이들에 대한 지원 내용, 방법, 그 이행과 관련해서 정교하게 설계된 규범들을 명문화하고 있어 좋은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. 해당 협정들의 비교, 분석을 통해 중소기업들의 무역 참여를 위해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어 공유해야 할 정보의 내용과 지원 방법을 모색할 수 있었으며 정책 효과 도출을 위한 이행 강화의 필요성도 재확인했다. 본 연구를 통해 최근 가속화된 가치사슬 변화에 따른 중소기업의 무역 참여 기회가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 시의적절한 지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.
핵심용어 중소기업, FTA, CPTPP, RCEP, USMCA
본 저작물 사용 시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하며, 상업적인 이용 및 변경은 금지됩니다. 위 조건을 위반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,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. 상세한 안내는 링크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 https://www.kogl.or.kr/info/license.do#04-tab ![]() |
'통상법무정책 > 2022년 제2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. (최원엽) Legal Impediments to the Exercise of WTO Jurisdiction in light of Mexico -Soft Drinks (DS308) and Peru-Agricultural Products (DS457) (0) | 2023.01.13 |
---|---|
3. (김수동) IPEF 협상의 필러별 주요 의제와 세부 조항 검토 (0) | 2023.01.13 |
1. (정인경) 미국 노동자 중심의 통상정책에 대한 정치경제적 해석 (0) | 2023.01.13 |
0. 통상교섭본부장 발간사 (0) | 2023.01.13 |
0. 통상법무정책 통권 제4호 (0) | 2023.01.13 |
'통상법무정책/2022년 제2호' Related Articles
-
4. (최원엽) Legal Impediments to the Exercise of WTO Jurisdiction in light of Mexico -Soft Drinks (DS308) and Peru-Agricultural Products (DS457) 2023.01.13
-
3. (김수동) IPEF 협상의 필러별 주요 의제와 세부 조항 검토 2023.01.13
-
1. (정인경) 미국 노동자 중심의 통상정책에 대한 정치경제적 해석 2023.01.13
-
0. 통상교섭본부장 발간사 2023.01.13